[펌] 우리는 왜 패닉하나?

출처:
http://www.sciam.com/article.cfm?id=why-do-we-panic

우리는 왜 패닉하나?

스트레스에서 두려움을 거쳐 본격적인 공황 장애에 이르는 경로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가 당사자들에게 위안을 주는 소식을 제공한다

할 아르코위츠와 스캇 O. 리리엔펠드 씀.

By Hal Arkowitz and Scott O. Lilienfeld

“퇴근하고 집으로 차를 몰고 오는 중이었어요,” 데이빗이 보고했다. “당시 스트레스가 아주 심했죠. 긴장은 했지만 집에 가서 쉬려던 참이었어요. 그런데 그때, 갑자기 빠방! 제 심장이 뛰기 시작했고, 숨을 쉬지 못할 것 같았어요. 땀을 흘리고 덜덜 떨었죠. 생각들이 마구 오갔고, 내가 미치거나 심장마비가 오는 건가 걱정이 되었어요. 차를 길가로 빼고 응급실로 데려가 달라고 아내에게 전화했어요.”

데이빗의 공포는 이유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응급실 의사는 데이빗(필자 중 한 명인 Arkowitz가 맡았던 치료 환자들 몇몇의 짬뽕)에게, 그가 공황 발작을 겪었던 거라고 말해주었다.
진 단 및 통계 매뉴얼Diagnostic and Statistica Manual(DSM)의 최근 판에서는 공황 발작을, 심장의 두근거림이나, 숨이 가빠짐, 땀 흘림, 떨림, 그리고 미치거나 분별력을 잃거나 죽는 것에 대한 걱정을 수반하는, 강렬한 공포나 격렬한 불안의 갑작스럽고 불연속적인 경험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대부분의 발작은 분명한 자극도 없이 일어나서 사람들을 더더욱 두려움에 질리게 만든다. 인구 중 약 8에서 10퍼센트가 이따금씩 발작을 경험하지만, 5퍼센트만이 공황장애로 발전한다. 일반적인 오해와는 달리, 이러한 사례들은 우리들 대부분이 때때로 경험하는 것처럼 단순히 걱정들이 쏟아지는 것과는 다르다. 공황 발작을 겪었던 환자들은 전형적으로 그것을 자신이 겪어본 중에 가장 무서웠던 사건으로 묘사한다.

연구를 통해 중요한 진전들이 이루어졌는데, 무엇이 첫 공황 발작을 일으키는지에 대한 해명은 애초에 발작을 피할 수 있는 단서가 될 것이다. 스트레스가 치명적 수준까지 차오르면, 아주 작은 양의 스트레스가 더해지는 것으로 발작을 유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발작을 일으킨 사람은 그 사건이 느닷없이 찾아온 것으로 경험하게 될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패닉 쪽으로 기울어진 유전적 경향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고, 심리학자 Regina A. Shih가 존스 홉킨스 대학에서 그녀의 동료들과 함께 한 리뷰 글에서 썼다. 그 장애는 가계를 따라 내려오며, 일란성 쌍동이 중 한 쪽이 공황 장애를 가지고 있다면, 다른 쪽도 가지고 있을 확률이, 유전적으로 덜 비슷한 이란성 쌍동이보다, 두배에서 세배 높아진다. 이러한 발견이 환경 요인을 배제시키진 못하겠지만, 유전적 요소를 강하게 시사하는 것이다.
공황 장애는 환자들의 삶의 질에 심각한 제한을 가져온다. 환자들은 또 발작을 일으킬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우려로 고통받기도 하고, 관련된 상황을 피하려 하기도 한다. 공황 장애의 진단을 받으려면, 환자는 난처한 상황(말하자면 교실 같은 공공장소)이나, 도움을 얻기 어려운 상황(예를 들어, 주변에 의료 시설이 없는 지역)에서 또 다시 발작을 일으킬까봐도 걱정해야만 한다. 이러한 상황들에 대한 광범위한 회피를 수반하는 공황 장애에는, 광장공포증이 딸린 공황 장애로 진단이 내려진다. 극단적인 경우 환자들은 꼼짝없이 집에만 묶여있게 될 수도 있다.

정상적인 두려움에서 심각한 공포로

그토록 무력하게 만드는 발작의 근원은 무엇일까? 공황장애 및 관련 장애들을 이해하고 치료하기 위한 선구적 연구를 해온 보스턴 대학교의 심리학자 데이빗 H. 발로우David H. Barlow 같은 사람들은, 우리의 정상적인 “투쟁 도주 fight or flight” 반응이 심박수를 높이고, 실재하는 위험이 없을 때의 “오경보false alarms”(이와 반대로 실재하는 위험에 직면했을 때의 똑같은 반응은 “경보true alarm”라고 한다.)가 숨을 가쁘게 할 때 공황발작을 야기된다고 본다.
우리가 경보나 오경보를 경험할 때, 우리는 그로 인해 당시 나타났던 생물학적 반응과 심리학적 반응을 연합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연합은 “학습된 경보learned alarms”이 되어 나중에 공황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외 부 환경과 내부의 신체적 계기(늘어난 호흡수 같은 것)가 둘 다 학습된 경보를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들은 운동을 하면 공황 발작을 경험하는데, 이는 그러한 생리학적 자극이 공황 발작 때와 유사한 신체 감각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왜 어떤 사람들은 단발성 발작만을 경험하는데, 어떤 사람들은 본격적인 공황 장애로 진행되는가? 발로우는 그와 다른 사람들의 연구를 종합하여 불안 장애의 통합 이론을 개발했다. 그 이론은 공황 장애로 진행되기 위해 필요한 몇 가지 소인들을 제시하고 있다.

  • 일상 생활의 사건들에도 과잉 반응을 하게 만드는 불안을 일으키는, 일반화된 생물학적 취약성.
  • (부모의 과잉 보호 같은) 어린 시절의 학습으로 인해, 세상이란 위험한 곳이고, 스트레스는 압도적인 것이라 통제될 수 없다는 불안을 일으키는, 일반화된 심리학적 취약성.
  • 어린 시절에 어떤 상황이나 사물이 위험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위험하다고 학습하게 되는, 특수한 심리학적 취약성.

이 러한 취약성들을 가진 사람이 장기적인 스트레스와 공황 발작을 경험할 때 공황 장애로 진전된다. 첫번째 발작은 심리학적 취약성들을 활성화시키고, 외부와 내부의 계기에 대한 과민증을 만들어낸다. 결과적으로, 약한 자극제를 함유한 약만으로도 발작을 일으킬 수 있게 된다.

그래도, 좋은 소식은 있다. 특히 두 가지 발견이 공황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안심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첫째로, 모든 공황 발작이 알려진 사건을 통해 유발된다. 당사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이것을 앎으로써 예측할 수 없다는 느낌에서 오는 걱정을 덜 수 있다. 둘째, 공황 발작이란 위험의 부재 상황에서 투쟁-도주 반응이 오작동하는 것이라는 것을 배움으로써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기초 연구는 우리가 공황 장애를 이해하는 것을 도왔을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치료법도 마련해주었다. 특히, 발로우와 그의 동료들은, 당신의 불안과 공황의 극복Mastery of Your Anxiety and Panic이 라는 저서에서 자신들이 개발한 공황 통제 치료에 대해 썼다. 그 치료는 공황 장애에 대한 교육과 공황 발작을 일으키는 내부 및 외부의 단서들로의 다소 점진적인 노출을 통해, 신체 단서들의 파국적 해석을 변화시킴으로써 더 이상 발작을 유발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 치료법은 대부분의 사례에서 장기적으로 해당 장애에 대한 약물 요법을 능가했다.

[펌] 우리는 왜 패닉하나?”에 대한 4개의 생각

  1. 아 제가 요새 학습했던 내용이라서 안그래도 공황장애에 관한 글을 써보려고 했는데 펌이긴 해도 대략 잘 전달해주셔서 왠지 약간 힘이 빠지는군요.;

    그래도 조만간 써봐야겠습니다 그때 트랙백 달겠습니다 ^^

댓글 남기기